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Culture > 초이스 > 도서
[도서] 씨네21 추천 도서 <한국현대 생활문화사: 1950년대>

<한국현대 생활문화사: 1950년대> 김학재 외 지음 / 창비 펴냄

건국절 논란부터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논란까지, 언젠가부터 한국 현대사는 우리 사회에 분란을 일으키는 애물단지처럼 여겨지게 되었다. 그러는 와중에 정작 중요한 ‘우리가 살아온 이야기’로서의 현대사마저 밀쳐두고 있는 건 아닐까? 1950년대부터 80년대까지 우리의 할아버지•할머니•아버지•어머니•삼촌•이모 들이 살아온 이야기를 더듬으며 지금까지 우리가 알아왔던 한국 현대사에 대한 편견을 깨보자. 바로 요즈음 각광받는 역사 읽기의 신조류 ‘한국현대 생활문화사’를 소개한다.

1958년, 9개월 동안 100억원 밀수품 적발

처음으로 찾아갈 시대는 1950년대이다. 1950년대라고 하면 아마도 전쟁 후의 피폐한 삶을 떠올리겠지만 그때 사람들도 오늘날의 우리처럼 욕망과 열망을 품고 살아갔다. 1950년대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였지만 그 시절을 살았던 사람들에게는 미제 물건이 넘쳐났던 시기로 기억되기도 한다. 흔히 ‘양품’(洋品)이라고 지칭되던 외제 물건들이 한국에 유입되는 가장 분명한 경로는 미국의 원조였지만 밀수도 성행했다. 1958년에는 9개월 동안 100억원에 달하는 밀수품이 적발되기도 했다. 특히 밀수의 거점이었던 부산 국제시장에서는 수많은 밀수품들이 거래되었다. 부산에서만 한달에 100건에 가까운 밀수가 적발되곤 했다.

남대문 도깨비시장의 유래

당시 밀수는 서민들에게 쉽게 큰돈을 벌 수 있는 사업의 하나로 받아들여졌으며, 원조 물품이나 피엑스(PX) 물품 사이에 밀수품이 섞여 거래되는 것은 보통의 시장 풍경이었다. PX에서 거래되는 물건 중 70%가 암시장으로 흘러나왔다. 파주의 ‘양키시장’은 서울의 사치품 시세를 결정했다. 현재 신세계백화점의 전신이자 일제 시기 미쓰코시(三越) 백화점의 서울 지점이었던 동화백화점이 바로 PX였고, 그 바로 옆의 지금도 남아 있는 남대문 도깨비시장은 PX에서 흘러나온 미제 물건들을 거래하는 대표적인 장소였다. 생필품부터 사치품까지 없는 것 없이 뚝딱 나오지만 단속이 뜨면 물건들이 도깨비처럼 사라지는 놀라운 시장, 동시에 허깨비 같은 욕망이 들끓던 바로 그곳이 미제 전문 시장, 일명 도깨비시장이었던 것이다.

미제에 눈뜬 사람들

‘미제’의 세계에 눈뜬 서민들에게 미제 물건을 쓴다는 것은 곧 문화생활을 영위하고 있다는 의미였다. 현실은 PX에서 나온 쓰레기 음식으로 꿀꿀이죽을 해먹는 가난한 서민들이 대부분이었지만, 그들 역시 도시 중산층의 삶을 꿈꾸고 있었다. 도깨비시장이나 국제시장에서 구한 미제 물건을 소비함으로써 미국영화에 나오는 풍요롭고 문화적인 삶을 조금이라도 구현해보고자 했던 서민들에게 미국은 근대적•문화적 삶의 지표로 다가온 것이다. 여기에 여성 잡지를 중심으로 미국영화와 스타들에 대한 시각 정보가 제공되면서 서민 대중에게 미국은 현실과 무관하게 구성되는 상상의 산물이 되어갔다. (<한국현대 생활문화사: 1950년대> 참조, 다음 회에 계속)

“세계적인 체인을 가진 호화판 백화점” 미군 부대 PX. 1950년 8월18일, 미군 준장이 이제 막 개장한 부산의 한 PX에서 상품을 구매하는 모습이다. 미군 부대의 PX는 미제 물건이 유통되는 가장 확실한 경로로 “없는 것이 없는 세계적인 체인을 가진 호화판 백화점”이라고 불렸다.

예스24에서 책구매하기
씨네21 추천 도서 <한국현대 생활문화사: 1950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