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Culture > 비디오 > 신작비디오
<선셋 스트립>(Sunset Strip)
2001-03-20

비디오/메인과 단신

1972년 어느날, 할리우드에선

2000년, 감독 애덤 콜리스 출연 사이먼 베이커 장르 코미디 (폭스)

딱히 정의내리긴 뭣하지만, 90년대 중·후반부터 등장한 일련의 미국영화들에서 어떤 ‘경향의 법칙’이 발견된다. 이른바 위반의 ‘노스탤지어’. 이를테면, 화장실 유머의 십대영화 혹은 <오스틴 파워> 시리즈 같은 패스티시영화, 그리고 일련의 회고담 영화 속에서 70∼80년대는 묘한 낭만적 감수성으로 상기되는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바로 그 ‘낭만적 감수성’인 노스탤지어에 있다. 70년대를 뒤흔들었던 반전·평화운동 그리고 하위문화와 반문화운동의 구호들은 거세된 채 오직 마약과 프리섹스 그리고 록음악의 현상적 단초들만으로 기억되는 지난 역사는 그저 오늘날 돌아보는 ‘좋았던 과거사’로 전락하고 마는 것이다. 마르크스주의적 사회이론가 프레드릭 제임슨의 말대로라면, 이것은 포스트모던 문화현상이 보여주는 ‘역사의 말소’라 할 수 있다. 즉 역사 속에 내재한 모순들은 ‘노스탤지어’라는 낭만적 감성 혹은 이데올로기 속에 지워져버리는 것이다.

그렇다면, <선셋 스트립>은 그러한 노스탤지어적 감성을 낭만적으로 향유하는 또 하나의 사례인 셈이다. 영화는 72년 할리우드를 배경으로 이곳에서 황금을 얻고자 하는 여러 젊은이들이 겪는 하루 동안의 일상을 포착한다. 로커들의 앨범재킷을 찍는 사진작가 마이클은 술과 마약에 절어사는 작곡가 로이와 함께 지낸다. 마이클은 테미라는 뮤지션 의상디자이너를 진심으로 사랑하지만, 그녀는 프리섹스를 즐긴다. 그리고 지미 핸드릭스를 열렬히 추종하는 기타리스트 잭. 그는 성공한 록가수 던컨의 공연 오프닝에 설 기회를 갖게 되지만 관객의 조롱에 좌절하게 된다. 여러 등장인물들의 하루일과를 시간대별로 추적해가는 이 작품은 마치 앨트먼의 <숏 컷>에서처럼 각 인물들을 개별적이고도 병렬적으로 추적해 들어간다. 이들에게 70년대는 록음악과 마약, 그리고 프리섹스의 쾌락으로 치장된 ‘좋았던 그 시절’로 회상된다. 로커들은 출세한 뒤 교만함과 사치 그리고 여자에 탐닉할 뿐이고, 이들과의 연애에 골몰하는 디자이너 테미는 얼핏 방탕해 보이기까지 하다. 결국 이 영화 속에서 그려지는 70년대는 그저 할리우드의 쾌락과 성공만이 가치를 부여하는 탈정치화한 공간인 셈이다. 그렇다고 이 영화가 관객의 보는 재미까지 무시한 불순한 영화는 아니다. 비록 정치적으로 보수적일지언정, 이 영화가 자극하는 70년대의 음악적 정취는 물론이고 MTV적 영상감각, 특히 하루 동안 각 인물의 일상을 추적하고 짜맞추는 영화적 구조는 꽤 매력적이라 할 수 있다. 감독은 애덤 콜리스. 이 영화가 그의 데뷔작이며 각본은 <도어즈> 시나리오를 썼던 랜달 존슨이 맡았다.

정지연/ 영화평론가 woodyallen@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