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스페셜 > 스페셜2
[기획] 우람한 육체성, 귀여움, 정의 구현, <황야>에 깃든 장르로서의 마동석
이우빈 2024-02-01

<황야>엔 포스트 아포칼립스 장르, 액션 장르란 수식어가 붙어 있다. 흥미로운 점은 ‘마동석 장르’란 수사도 함께 따라붙는단 사실이다. <범죄도시> 시리즈를 대표로 하여 통용되기 시작한 단어다. 이는 예비 관객의 이해를 돕기 위한 마케팅적 편의일 수 있다. <범죄도시> 시리즈와 배우의 명성을 이용하는 상투일 수도 있다. 그러나 <황야>는 넷플릭스에 공개되고 <범죄도시> 시리즈와 무관한 제작사와 배급사가 내놓은 작품이다. <범죄도시> 시리즈의 터줏대감인 허명행 감독이 연출을 맡았다곤 하나 그것만으로 마동석이란 장르가 연속된다고 증명하기엔 부족하다. 마동석 배우가 마블 영화에 나올 만큼 커다란 존재감을 지녔단 것도 장르의 충족 조건은 아니다. <기생충>의 송강호가 <거미집>에 나왔다고 해서 <거미집>을 송강호 장르라고 부르진 않는다. <서울의 봄>이 대흥행했다고 해서 황정민의 차기작이 황정민물이라고 불리진 않을 것 같다.‘마동석’이 장르라면 장르의 세 가지 요소인 도상, 관습, 공식을 충족해야 마땅하다. 서부극으로 예를 들자면 다음과 같다. 황무지나 카우보이모자 같은 도상(이미지), 주인공과 악당이 총으로 대결하는 관습적 에피소드, 실력 있는 총잡이가 마을을 구하고 불현듯 사라진단 공식이 있어 고전 서부극은 하나의 장르로 규명됐다. 이처럼 ‘마동석극’ 혹은 ‘마동석물’에도 도식적인 귀납이 필요하다. 첫째, 마동석물의 도상은 역시 마동석만의 우람한 육체겠다. 둘째, 마동석 특유의 시답잖은 언어유희와 툭툭 튀어나오는 귀여움의 면모가 마동석물엔 관습으로 자리 잡았다. 셋째, 마동석은 사회의 악을 처단하려 하고 대체로 이긴 후에 아무렇지 않은 듯 사회로 복귀한다.

위의 공식을 <황야>에 고스란히 대입해보자. <황야>의 남산(마동석)은 마동석의 두껍고 거대한 신체를 그대로 보여준다. 강력한 적수와의 결전을 앞둔 남산은 “그럼 내가 사냥꾼이지 사랑꾼이겠냐?”와 같은 말장난으로 긴장을 이완시킨다. 남산은 사회악으로 보이는 양기수(이희준)를 해치우려 한다. 아주 단순한 증명이지만 <황야>는 우리가 아는 마동석물이 맞는 듯하다.다만 <황야>가 “마동석이란 장르를 편리하게 답습한 작품에 불과하냐”라고 묻는다면 그렇진 않다. 애초에 장르는 반복이다. 그 반복 속에서 조금씩의 변화가 눈에 띌 때 관객은 장르영화의 재미를 느낀다. 예를 들어 “우어~”거리며 흐느적대는 좀비만 봤던 관객들이 <월드워Z>의 전력 질주하는 좀비들을 보는 순간 그들의 학습된 상상엔 균열이 인다. 어느 정도 익숙하면서 어느 정도 신선한 장르적 재미가 발생한 것이다. 그런 사소한 변화의 의미들이 쌓이면서 서부극이 수정주의 웨스턴, 스파게티 웨스턴, 스페이스 웨스턴 등으로 뻗어나간 단계가 장르의 법칙이다. 열 중 아홉이 같아도 하나만 다르다면 장르물은 그만한 장르적 가치를 지닌다.

<황야>에도 마동석 장르의 변주들이 군데군데 발견된다. “나쁜 놈들은 그냥 잡아야 해”라며 정언명령에 가까운 주먹의 정의를 펼치던 <범죄도시> 속 (공적)형사 마석도의 관습은 없다. (사적)사냥꾼 남산은 양기수로부터 수나(노정의)를 구하는 일에 매달릴 뿐이다. 그는 양기수 일당이나 여타 악당 무리를 소탕하는 사회적 정의 실현에 우선을 두진 않는다. 또 남산은 물리적 강함을 보완하기 위해 마체테와 총을 쓴다. 절대 쓰러지지 않고 강인했던 마석도의 육체-주먹과 여실히 다르다. 심지어 남산은 계단을 오르기가 힘들다며 지팡이를 짚기도 한다.

만약 마동석 아닌 다른 배우가 남산을 연기했다면 위의 차이들은 아무런 소용이 없다. 그저 한번 휘발되고 말 캐릭터의 몇몇 설정에 불과하다. 그러나 <황야>가 마동석 장르임을 명명하는 순간 그것들은 모종의 함의로 바뀐다. 우리가 알던 마동석물 속 마동석의 정의와 남산의 정의가 어딘가 다를 때, 익숙하던 주먹질과 달리 마체테를 쓸 때 관객은 그 차이의 의미를 분석하며 제2의 즐거움을 느끼게 된다. 개별 작품의 완성도나 재미를 초월할 수 있는 ‘장르’의 장점이다. <황야>를 마동석물로 보는 시청 행태, 이후의 마동석물에 과연 어떤 변주와 균열이 있을지란 기대까지 한국 관객은 무의식적으로 습득해버렸다. 그렇게 <황야>는 마동석물이란 한국영화의 뚜렷한 장르적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필수로 거쳐야 하는 경유지가 됐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