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ovie > 무비가이드 > 씨네21 리뷰
인생에 필요한 ‘미적 기술’, <싸움의 기술>
문석 2006-01-03

<싸움의 기술> 속 세계는 정글이다. 그것도 수컷만이 득시글거리는. 이 먹이사슬의 피라미드에서 꼭지점에 자리한 자와 바닥 가까이에 임한 자를 가르는 유일한 기준은 힘이다. 약육강식이라는 이 세계의 경제 시스템은 힘있는 소수 포식자들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하게 돌아간다. 힘없는 자들은 가여운 가젤처럼 물어 뜯기거나, 참혹하게 널부러진 동료를 보며 그저 눈물 한방울만 흘리는 수밖에 없다.

군산의 한 공고에 다니는 병태(재희)는 가젤 같은 존재다. 불량하기 짝이 없는 ‘빠코’ 패거리는 시도 때도 없이 그에게 폭력을 가한다. 인문계에서 전학 왔다고, 아버지가 형사라고, 단체기합을 받다가 구령을 잘못 외쳤다고 등등, 특별한 이유도 없이 그는 매일같이 샌드백 신세가 된다. 병태가 가젤과 다른 점이 있다면 틈틈이 학교 안의 맹수들에게 반격할 기회를 노린다는 사실이다. 그가 익힌 특공무술이나 형광등 검법은 별다른 힘을 발휘하지 못하지만, 병태는 계속해서 공력을 쌓기 위해 애쓴다. 그렇게 정글에서 살아남겠다는 절박한 소망을 가진 병태 앞에 구세주가 나타나니, 그는 고수의 기운을 뿜어내는 오판수(백윤식)다. 서울에서 큰 사고를 치고 이곳으로 도피한 이 ‘전설의 고수’가 병태가 다니는 독서실의 뒷방으로 강림한 것이다. 이제 병태는 판수에게 싸움의 비기(秘技)를 전수받고자 누런 방바닥에 머리를 조아린다. 그런데 이상하다. “강해지고 싶다”는 병태의 간절한 소망을 접수했건만, 판수는 그에게 엉뚱한 것만 가르친다. 싸움에 쓰는 근육을 단련시킨다며 빨래를 짜지 않나, 하체가 중요하다며 담요 빨래를 밟게 하질 않나, 심리전을 가르친다며 화투나 치고 있으니 판수는 정말 병태를 가르치고나 싶은 건가.

이 우스꽝스럽고 엉뚱한 단련 과정에서 판수와 병태 사이에는 기이한 우정 또는 애정이 쌓여간다. 가르치고 배우는 와중에 두 사람은 멘토와 제자의 관계에서 점점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로 발전하는 듯 보인다. 특히 병태는 자신에게 무관심한, 부재하는 형사 아버지보다 판수를 진정한 아버지로 받아들이며 한 단계 성장한다. 의사(疑似) 부자관계를 맺은 두 사람을 바라보는 병태 아버지의 눈빛과 행동에서 이상한 질투심을 느낄 수 있는 건 당연한 일이다. 판수는 병태의 실질적인 아버지일 뿐 아니라 이 세계의 유일한 어른이다. 그들에게 인생의 지혜와 깨달음을 줄 수 있는 어른은 존재하지 않는다. 병태의 학교가 보여지는 첫 장면에서 아이들은 선반기계 옆에서 단체기합을 받고 있다. 교사는 호통을 치고 가혹한 폭력을 행사한다. 병태의 중학교 시절 한 교사는 아이들을 때릴 때 “살아 있다는 느낌이 든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러니까 병태 주변의 어른들은 폭력이라는 수컷 세계의 유물을 대물림하는 역할을 할 뿐이다.

그러나 판수만은 확실히 다른 어른이다. <싸움의 기술>의 영문 제목이 ‘Technic Of Fighting’이 아니라 ‘Art Of Fighting’인 것 또한 이와 관련이 있다. 판수가 병태에게 가르치는 ‘싸움의 기술’은 단지 힘으로 남을 제압하는 방법만이 아니라 인생이라는 투쟁에 있어 필요한 ‘미적 기술’이다. “싸움이라는 것이 주먹질만 하는 게 아니고 인생 그 자체가 싸움”이라고 말하는 판수는 병태의 마음속에 잠자고 있는 무언가를 일으켜 세움으로써 이 아수라장을 헤쳐나갈 수 있는 진정한 힘을 찾아주려 한다. “넌 아직 네 자신을 모르고 있어.”

<싸움의 기술>에서 판수가 멋지게 보이는 이유는 단지 캐릭터가 매력적이기 때문만은 아니다. 판수 역을 맡은 백윤식의 초절정 고감도 연기가 없었다면 이 영화의 성취는 반감됐을 것이다. 때론 맥 풀린 중년 신사처럼, 때론 진정한 싸움의 달인처럼, 그리고 가끔은 도인처럼 보이는 그의 모습은 비현실적일 수도 있는 판수라는 캐릭터를 현실에서 펄펄 뛰는 존재로 숨쉬게 한다. “너, 피똥 한번 싸볼래?”라든가 “너, 집에 돈은 있냐?”라는 등의 대사 또한 그저 별 생각없이 툭툭 던지는 것 같은데도 묘한 생명력이 묻어 있다. 대중영화로서의 <싸움의 기술>이 가진 메리트는 대부분 백윤식의 연기에서 비롯되며, 그 덕에 판수는 한국영화사에서 지워지지 않을 또 하나의 독특한 캐릭터로 태어났다.

그건 뒤집으면 이 영화에서 백윤식의 존재감보다, 또는 그만큼 특별한 점을 찾는 게 힘들다는 말이기도 하다. 학생들 싸움에 폭력조직이 뒤얽히고, 또 거기에 판수가 얽히면서 익숙하지만 낡게 느껴지는 장르의 안락함 속으로 빠져드는 이 영화는 병태가 “맞아본 자의 두려움”을 극복하려 발버둥치는 클라이맥스에 이르러 카타르시스를 충분히 분출하지 못한다. 결말은 불성실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싸움의 기술>의 중심에는 병태라는 한 아이의 성장이 존재하지만, 그 성장은 낭만적일 수 없다. 그에게 성장이란 세상의 참혹한 리얼리티를 깨닫는 과정에 다름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폭력을 끊임없이 재생산하는 구조, 학교라는 먹이사슬의 피라미드 바깥에 자리한 더 큰 피라미드들의 존재라는 현실은 돌연한 멕시코 해변의 그림엽서 안에서 해체된다.

독특한 호흡의 코미디 리듬을 품고 있어 신인감독으로선 일정한 성취라 할 만한 <싸움의 기술>에 대해 이렇게 불평하는 이유는 이 영화를 만든 이가 신한솔 감독이기 때문일 것이다. <염소가족> 등의 단편영화를 통해 드러난 그의 반짝이는 재능이 아직 전모가 드러나지 않은 것 같아 아쉽다는 얘기다. 어쩌면 그건 백윤식의 폭발적인 기운에 상응하는 작품을 만들려면 좀더 공력을 쌓아야 한다는 말인지도 모른다.

관련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