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칼럼 > 투덜군 투덜양
[투덜군 투덜양] 마지막 설탕 한 스푼, <왕의 남자>

투덜군, <왕의 남자>의 2% 넘친 엔딩에 안타까워하다

무릇 내공이라 함은 무엇인가. 이에 대해서는 물론 각종 의견이 있을 수 있겠으나, 필자에게 내공이란 다름 아닌 ‘쓸따리 없는 것을 하지 않을 수 있는 능력’을 뜻한다. 그림을 그릴 때는 얼마나 화려하고 세밀하게 묘사하는가보다 언제 그리기를 멈출 것인가가 더 중요한 것이요, 글을 쓸 때는 어떤 이야기를 써내는가가 아니라 어떤 이야기를 쓰지 않는가가 더 중요한 일이로다… 뭐 이런 카인드 오브 얘기다. 이런 면에서 원고지 7매라는, 김 6장가량에 해당하는 넓이의 공간에서 각종 종합 투덜을 일삼는 본 칼럼은 지난 일년 반의 세월 동안 필자의 일천한 내공을 수련하는 커다란 도량이 되어주었던 바, 이 자리를 빌려 <씨네21> 관계자 여러분과 독자 여러분께 심심한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좀 늦었지만,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여튼, 각설하고.

이러한 면에서 <왕의 남자>는 공력이 느껴지는 훌륭한 영화였다. 이미 닳고 닳도록 다뤄진 역사적 사실을 다룬 이러한 종류의 영화는, 기존의 해석들을 뛰어넘고자 하는 과욕으로 인해 ‘과도한 창작의 오류’에 빠지거나, 아니면 별달리 새로운 해석이 안 되는 경우 잔재주와 호들갑으로 그 공백을 메우고자 하는 ‘공허한 오버의 오류’로 빠지기 쉬운데, 그러한 함정에 빠지지 않고 자신의 이야기를 한방에 밀어붙인 힘은 확실히 ‘내공’이라는 단어를 붙이기에 부족함이 없었더랬다.

하지만, 언제나처럼 하지만. <왕의 남자> 역시 막판에 한 가지 안타까움을 간직하고 있었으니, 그것은 바로 당 영화의 엔딩 부분이다. 장생(감우성)과 공길(이준길)이 연산군 앞에서 마지막 살판을 놀면서 동시에 최후의 고공 점프를 하는 바로 그 대목까지는 매우 훌륭하였다. 그런데, 거기에서 고마 딱 끝내지 그랬어.

시대와 욕망에 희생당한 광대들이, 결국은 모두 평화로이 모여 놀며 저 푸른 해원을 향하여 흔드는 영원한 노스탤지어의 손수건 뭐 그런 데로 향한다… 는 <왕의 남자>의 엔딩 15초는, 지금까지 결론을 향해 거침없이 나아가는 필 한껏 발산하던 당 영화의 내공 깊은 발걸음에 밭다리 후리기가 되기에 충분했다.

사실 이러한 엔딩을 굳이 붙여야만 했던 주최쪽의 고뇌 또한 짐작 아니 가는 바 아니다. 안 그래도 상당히 무거운 필의 당 영화에서 마지막까지 그렇게 무겁고 비장하게 끝을 낸다면, 그 헤비함을 떨치지 못하고 극장문을 나서는 관객 사이에서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은 입소문이 날 것을 우려한 그 번민은 어느 정도 이해가 가는 바이다.

하지만 앞으로 그러한 근심걱정은 거두시라 말씀드리고 싶다. <왕의 남자> 같은 잘된 영화로, <킹콩> 같이 각종 힘으로만 들이박은 영화를 박스오피스 1위의 자리에서 끌어내는 관객에게 그런 식의 근심걱정을 해주는 일은, 상당한 실례니까 말이지.

관련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