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ovie > 무비가이드 > 씨네21 리뷰
홀로코스트라는 역사적 사실보다는 슬픔과 비극에 집중한다 <사라의 열쇠>

영화는 1942년 7월16일 파리 마레 지구 생통쥬가 36번지 3층에서 시작한다. 유대인 가족 스타르진스키 일가가 살고 있던 그곳에 나치와 협력한 프랑스 경찰이 들이닥친다. 아버지는 외출 중이고 어머니는 두려움에 떨고 있다. 그 와중에 사라는 침착하게 동생을 벽장 안에 숨기고 열쇠를 챙긴다. 동생을 제외한 나머지 가족만 수용소로 끌려간다. 벽장 속에 갇힌 동생은 어떻게 되었을까? 사라는 동생을 다시 만났을까? 1942년 파리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졌던 것일까? 그 비밀을 풀어나가는 것은 2009년의 파리에 살고 있는 미국인 저널리스트 줄리아 테작(크리스틴 스콧 토머스)이다. 그녀는 1942년 프랑스 유대인 집단 체포사건을 취재하던 중 남편의 부모님이 소유한 생통쥬가 아파트에도 유대인들이 살았었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사라 스타르진스키란 이름의 소녀도 그중 하나였다. 사라의 사진을 본 뒤부터 줄리아는 강박적으로 소녀의 흔적을 뒤좇는다.

이 영화가 가장 예민하게 포착하려 한 태도는 망설임이다. 진실에 대한 두려움에서 비롯된 망설임. 이 영화에서 드물게 인상적인 장면 중 하나는 줄리아가 생통쥬가 아파트의 거주 기록 조회를 망설이는 장면이다. 담당자는 컴퓨터로 조회하면 금방 확인할 수 있다며 주소를 물어본다. 줄리아는 지나치게 간편한 진실이 당혹스러워 잠시 망설인다. 탈출한 여인에게 벽장 열쇠를 맡기지 못한 사라의 아버지, 사라에 관해 남겨진 서류를 열어볼 엄두를 내지 못했던 줄리아의 시아버지, 아들에게 어머니가 어떤 사람인지 알려주기를 평생 망설여온 사라의 남편, 떠나가는 사라를 붙잡지 못하는 뒤포르 부부, 차마 땅에 떨어진 사과를 짓밟아버리지 못하는 임시수용소 경비병까지, 역사는 망설이는 개인들의 행위가 누적된 결과물이다. 그러나 망설임이 이 영화의 윤리적 태도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홀로코스트를 다룬 영화에 대한 평가는 영화의 윤리적 태도에 대한 평가로 이어질 때가 많다. 하지만 이 영화는 재현의 윤리라는 문제로부터 멀찌감치 떨어져 있고 싶었던 것 같다. 영화는 홀로코스트에 대한 논쟁을 최대한 삼간다. 경솔한 선택은 아니다. 그렇다고 신중한 선택이라고 말할 수도 없다.

프랑스 작가 타티아나 드 로즈네이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이 영화의 주된 관심사는 인물들과 인물들이 빚어내는 드라마다. 어린 소녀의 무지한 실수가 낳은 개인적비극에 홀로코스트는 역사적 깊이를 더해주기 위한 배경일 뿐이다. 좀더 중요한 것은 슬픔에 찬 얼굴, 비극의 드라마투르기다. 특히 전반부는 인물들의 표정에 집중하며 과거와 현재를 교차시키는 추진력이 돋보인다. 크리스틴 스콧 토머스와 멜루신 메이얀스의 연기도 섬세하다. 하지만 뒤로 갈수록 인물들의 심리를 파고드는 집중력이 떨어진다. 특히 어른이 된 사라에 대한 묘사는 상투적이다. 사라의 가족도 기능적인 역할을 넘어서지 못한다. 감정의 두께가 더 두터웠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 영화다.

관련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