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ovie > 무비가이드 > 씨네21 리뷰
이 지독한 병의 근원 <미국의 바람과 불>

<미국의 바람과 불>은 현재 한국이 앓고 있는 지독한 ‘미국병’의 근원을 찾아 해방 직후부터 현재까지의 역사를 되짚는다. 대한민국에서 미국이라는 표상은 자유, 민주주의, 기독교, 정의 등 홀로 있으면 바람직하기 그지없는 기표들과 결합하는 순간 민족주의, 신자유주의, 수구, 우익, 기득권과 같은 위험하기 그지없는 기의들을 파생시킨다. 이 영화는 한국전쟁 기록영상과 대한뉴스, 국정 홍보 영화 등 기존의 영상자료들과 현재 그 정신을 이어받은 행사들에 관한 촬영분을 교차편집하여 화면 안에 있는 이들이 말하고자 했던 것들을 비틀어 재기술한다. “어떤 숏도 개별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그것들의 관계가 마치 세계 자체가 그러하듯 중층적이고 모든 것이 모든 것과 연관되어 있는 미로와 같은 것이길 바란다”는 김경만 감독의 발언은 하나의 숏에 담긴 내용보다는 숏과 숏의 연결을 통해 의미가 생성된다고 믿었던 ‘소비에트 몽타주’의 미학적 원칙들을 상기시킨다. 그러므로 이 영화에서 중요한 것은 화면 내(內) 메시지가 아니라 화면간(間) 메시지이다.

<미국의 바람과 불>은 그가 단편들에서 해왔던 작업의 연장선상에 있다. <각하의 만수무강>(2002)은 뉴스 편집을 통해 국가의 모든 행사가 국가원수(이승만)의 생일축하연으로 전환되는 우스꽝스러운 광경을, <하지 말아야 될 것들>(2003)은 베트남전에 참전하여 용맹하게 싸우고 있는 한국군의 영상에서 미국의 대리인이 되고 싶었던 한국의 야욕을 폭로했다. <우린 봉사한다>(2000), <학습된 두려움과 과대망상>(2003)에서 그는 거대한 담론에 잠식당해 모든 것을 공식적이고 이데올로기적인 것으로 치환해야만 안심하는 주체들이 스스로의 모순을 폭로하는 과정을 관찰했다.

감독은 재배치와 관찰을 통해 교조적인 메시지를 강변하는 화면/주체야말로 가장 공허한 화면/주체들이라는 존재론적 아이러니를 포착해왔고 이는 이번 영화에서도 이와 같은 전략이 유효하게 작동된다. 김경만의 영화에서 과거로부터 소환된 영상들은 세 가지 층위에서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낸다. 첫 번째 층위는 그 화면이 원래 복무했던 권력이 부재하는 ‘현재’라는 시간, 두 번째 층위는 본래의 맥락과 달라진 숏의 재배치, 세 번째 층위는 사운드 편집이나 자막 삽입을 통한 오리지널 숏의 물리적 변형이다. <미국의 바람과 불>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장면은 역대 대통령들이 취임과 동시에 방미를 통해 미국에 자신의 존재를 인정받으려고 애쓰는 모습이다. 표면적으로 친미였던 이승만은 물론이고 자주를 내세웠던 박정희, 군사정권과의 차별성을 강조했던 김대중까지 본질적인 구도는 변하지 않는다. 미국은 한국의 정권의 정당성부터 경제적 존망까지 쥐락펴락해왔다. 한국의 기독교는 북한을 저주하고 미국을 축복한다. 미국의 핵무기는 세계 평화를 의미하지만 북한의 핵무기는 인류 생존을 위협한다.

‘자주국방’과 ‘미군주둔’이라는 두개의 공존 불가능해 보이는 구호는 ‘절대우방’으로서 미국 표상과 보호받아야 할 ‘약소국’으로서 한국으로 치환되어 강력하게 결합한다. 그들이 ‘미국’이라는 강성대국을 경유하여 지키고 싶었던 가치는 무엇일까? 표면적으로 미국이 한국의 최고 우방국의 자리를 차지하게 된 한국전쟁 자료화면과 병치된 한국전쟁 60주년 행사에서 삼성 모니터를 든 국군 마네킹의 모습은 그러한 역사의 끝에 우리가 도달한 지점이 어디인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유령도시 같은 ‘영어마을’을 바라보는 시선 속에 포착된, 이 사회의 광기가 지나간 자리의 스산함 역시 우리를 소름끼치게 한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