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ovie > 무비가이드 > 씨네21 리뷰
재치있게 이어붙인 꿈과 현실 <열흘 밤의 꿈>
정재혁 2008-12-17

원작 충실 지수 ★★ 멈췄다 다시 봐도 괜찮은 지수 ★★★★ 우열 편차 지수 ★★★★

나쓰메 소세키가 꾼 열번의 꿈이 영화로 만들어졌다. <열흘 밤의 꿈>은 나쓰메 소세키의 1908년작 <몽십야>를 영화로 옮긴 작품이다. 100념 넘는 역사를 가진 영화사 닛카쓰가 소설 발행 100주년을 기념해 프로젝트를 진행했고, 이에 두 거장 이치카와 곤(<버마의 하프> <열쇠> <고도>)과 짓소지 아키오(<땅거미가 지면> <무상> <우부메의 여름>)를 비롯해 최근 가장 주목받는 젊은 감독 야마시타 노부히로(<마을에 부는 산들바람> <린다 린다 린다>), 니시카와 미와(<산딸기> <유레루>), 그리고 일본 호러영화의 거장 시미즈 다카시(<주온>) 등이 참여했다. 이들은 각각 일야(一夜)씩 맡아 10분 남짓의 단편영화로 나쓰메의 소설을 옮겼고 나이, 장르가 다양한 만큼 영화는 다채로운 색깔로 완성됐다.

일야를 여는 건 짓소지 아키오 감독이다. 작가 &#54673;켄(마쓰오 스즈키)과 아내 츠구미(고이즈미 교코)의 일상을 그린 이 단편은 100년이란 시간을 집 내부의 지루한 공간 속에 흩뿌리며 시간관념에 대한 단상을 던진다. 글쓰는 이와 그를 기다리는 여인, 그리고 매번 반복되는 공간의 풍경이 100년이란 시간을 다시 생각하게 한다. 이야(二夜)에서 이치카와 곤은 짓소지 감독이 던져놓은 시간이란 주제를 명상과 깨우침의 도구로 사용한다. 어두컴컴한 방에 한 무사(우지키 쓰요시)가 등장하고 그는 언제 나타났는지 모를 스님(나카무라 우메노스케)과 대화한다. 스님은 남자에게 아직도 깨달음을 얻지 못했냐고 조롱하고 이에 열이 받은 남자는 다음 시계 종이 칠 때까지 깨달음에 성공해 스님을 죽이겠다 다짐한다. 하지만 종소리로 구획된 시간이 지나도 남자는 아무런 발견도, 명상의 결과도 찾아내지 못한다. 이치카와 감독은 꿈이란 상황을 무성영화 형식으로 형상화하며 인간의 욕심과 명분을 시계도, 말도 없는 상황의 명상을 통해 풍자한다.

두 거장의 두 밤이 끝나면 시미즈 다카시의 밤이 이어진다. 시미즈 다카시는 부모 자식간의 관계를 죄의식의 메타포로 풀어낸 나쓰메 소세키의 이야기를 긴장감있는 공포로 만들었다. 지장보살의 목을 떨어뜨린 바 있는 여자(가시이 유우)는 꿈에서도, 꿈같은 현실에서도 공포에 휩싸여 있다. 몽상적인 이야기를 공포의 요소로 전환한 시미즈의 재치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원작을 가장 많이 변형한 야마시타 노부히로는 팔야(八夜)를 신기한 생물 미츠의 등장과 아이들의 놀이, 할아버지의 환영을 뒤섞어 표현했다. 열개의 밤 중 가장 별난 이야기다. 기억과 기다림에 대한 고찰이 눈에 띄는 니시카와 미와의 구야(九夜), 물고 뜯고 피 터뜨리는 자신의 장기를 적절히 살린 야마구치 유다이의 십야(十夜)는 감독의 색이 가장 강하게 드러난 작품이다. 영화의 전체적인 완성도는 아쉽지만 <열흘 밤의 꿈>은 열명의 감독이 나쓰메 소세키를 화자로 꿈과 현실을 재치있게 이어붙였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tip/일야에선 배우를, 육야에선 감독을 한 마쓰오 스즈키. 그는 배우이자 연출가고 각본가이자 칼럼니스트다. 80년대 극단을 설립해 연극을 시작했고 2004년 <사랑의 문>으로 영화감독 데뷔했다.

관련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