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다스 앤 더 블랙 메시아 Judas and the Black Messiah
감독 샤카 킹
출연 대니얼 컬루야, 라키스 스탠필드, 마틴 신
상영 플랫폼 미국 내 극장 및 HBO Max
주요 수상·후보지명 기록
- 제93회 아카데미 시상식 작품상, 남우조연상, 각본상, 촬영상, 주제가상 후보
- 제78회 골든글로브 시상식 남우조연상(대니얼 컬루야) 수상
- 제26회 크리틱스 초이스 어워드 남우조연상(대니얼 컬루야) 수상
- 미국영화연구소(AFI) 올해의 영화 수상
- 아프리칸-아메리칸 영화비평가협회 작품상, 남우조연상(대니얼 컬루야), 여우조연상(도미니크 피시백), 브레이크아웃 감독상 수상
미국의 급진적 정치단체 블랙팬서당의 태동기였던 1960년대 후반 시카고 지부의 의장이었던 프레드 햄프턴. 그에 대한 영화를 만든다고 했을 때 유복자로 태어난 프레드 햄프턴 주니어는 우선 반대했다. 이전에도 많았던 프레드 햄프턴에 대한 영화 제안에 대해 그는 호의적이지 않았
[2021 미국 시상식 화제작] '주다스 앤 더 블랙 메시아' 블랙팬서의 빛나는 날들
-
마 레이니, 그녀가 블루스 Ma Rainey’s Black Bottom
감독 조지 C. 울프
출연 채드윅 보스만, 비올라 데이비스, 글린 터먼, 콜먼 도밍고, 마이클 포츠
상영 플랫폼 넷플릭스
주요 수상·후보지명 기록
- 제93회 아카데미 시상식 남우주연상(채드윅 보스만), 여우주연상(비올라 데이비스), 미술상, 의상상, 분장상 후보
- 제78회 골든글로브 시상식 드라마 부문 남우주연상(채드윅 보스만) 수상
- 제26회 크리틱스 초이스 어워드 남우주연상(채드윅 보스만), 분장상, 의상상 수상
- 제46회 LA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채드윅 보스만), 남우조연상(글린 터먼) 수상
스토리 1927년 시카고의 녹음 스튜디오. 당대 최고의 흑인 블루스 가수 마 레이니(비올라 데이비스)와 그녀의 전속 밴드 멤버들이 음반 녹음을 위해 스튜디오에 모인다. 밴드의 대기실이자 연습실인 지하실에선 젊은 트럼펫 연주자 레비(채드윅 보스만)와 고참 멤버들이 음악과 종교와 삶의 태
[2021 미국 시상식 화제작] '마 레이니, 그녀가 블루스' 비올라 데이비스와 故 채드윅 보스만 오스카 주연상 거머쥘까
-
사운드 오브 메탈 Sound of Metal
감독 다리우스 마더
출연 리즈 아메드, 올리비아 쿡, 폴 라치, 마티외 아말릭
상영 플랫폼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주요 수상·후보지명 기록
- 제93회 아카데미 시상식 작품상, 각본상, 남우주연상(리즈 아메드), 남우조연상(폴 라치), 음향상, 편집상 후보
- 미국영화연구소(AFI) 올해의 영화 수상
- 제33회 시카고비평가협회 남우조연상(폴 라치) 수상
- 팜스프링스국제영화제 배우상(리즈 아메드) 수상
올해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 각본상, 남우주연상을 포함해 6개 부문에 이름을 올린 <사운드 오브 메탈>이 국내에선 극장 개봉을 하지 못한 채 조용히 온라인에서만 스트리밍되고 있다. 사운드 디자인이 훌륭한 영화인 만큼 큰 스크린에서 잘 조율된 사운드로 영화를 만날 수 없게 된 건 안타까운 일이다. 그러나 우선 특별하고 용감한 이 영화가 세상에 나온 것에 감사해야 할 것 같다. ‘각본은 훌륭하나 투자는 어렵다
[2021 미국 시상식 화제작] '사운드 오브 메탈' 소리와 침묵으로 경험하는 영화
-
프라미싱 영 우먼 Promising Young Woman
감독 에메랄드 페넬
출연 캐리 멀리건, 보 버넘, 앨리슨 브리, 레버른 콕스, 클랜시 브라운, 제니퍼 쿨리지
상영 플랫폼 극장 개봉
주요 수상·후보지명 기록
- 제93회 아카데미 시상식 작품상, 감독상(에메랄드 페넬), 여우주연상(캐리 멀리건), 각본상(에메랄드 페넬), 편집상(프레데릭 토라발) 후보
- 제26회 크리틱스 초이스 어워드 여우주연상(캐리 멀리건), 각본상(에메랄드 페넬) 수상
- 제33회 시카고비평가협회상 유망감독상(에메랄드 페넬) 수상
- 제46회 LA비평가협회상 여우주연상(캐리 멀리건), 각본상(에메랄드 페넬) 수상
2021년 오스카의 복병은 <프라미싱 영 우먼>이다. 배우 출신의 감독 에메랄드 페넬은 <노매드랜드>의 클로이 자오 감독과 함께 감독상 후보에 나란히 이름을 올렸다. 2인 이상의 여성감독이 감독상 후보에 오른 것은 93년의 긴 권위를 자랑하는 아카데
[2021 미국 시상식 화제작] '프라미싱 영 우먼' 독성 주의, 대체 불가 복수극
-
-
2008년 경제 대공황의 여파로 급격히 쇠퇴한 어느 도시로부터 스토리가 시작되지만, <노매드랜드>는 현대 자본주의를 맹렬히 비판하는 사회파 영화가 아니다. 미국 네바다 엠파이어의 석고 공장이 문을 닫고 유령 도시가 된 이곳은 우편번호마저 없는 곳이 되지만 펀(프랜시스 맥도먼드)은 그에게 닥친 상실감을 새로운 삶의 방식으로 전환하는 계기로 삼는다. ‘뱅가드’라는 이름을 붙인 밴을 타고 ‘노매드’ 생활을 선택한 펀은 미국 각지를 떠도는 사람들을 만나고, 교감하고, 다시 혼자 길을 떠난다.
지난해 베니스국제영화제에서 황금사자상을 받은 <노매드랜드>는 주요 시상식에서 작품상과 감독상을 휩쓸며 이번 오스카에서도 가장 유력한 작품상, 감독상 후보로 떠올랐다. 4월15일 한국 개봉을 앞둔 <노매드랜드>가 어떤 작품인지 미리 엿볼 수 있는 몇 가지 키워드를 정리해보았다.
노매드랜드 Nomadland
감독 클로이 자오
출연 프랜시스 맥도먼드, 데이비드 스트라
[2021 미국 시상식 화제작] '노매드랜드' 연민하지 않고, 낭만화하지도 않고
-
<신세계><마녀>를 연출한 박훈정 감독의 6번째 연출작 <낙원의 밤>이 4월 9일,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됐다. 누아르 장르 세계 안에서 주로 ‘혈전’을 그려왔던 박훈정 감독은 전작 <마녀>에서 잠깐 십대 소녀와 초능력의 세계로 빠져 들었다가 이번에는 제주도라는 공간으로 눈을 돌렸다. 그렇다면 제주도에서 벌어지는 ‘혈전’을 다루는 영화가 될까. 제77회 베니스국제영화제 비경쟁 부문에 초청되며 많은 궁금증을 자아냈던 <낙원의 밤>이 드디어 공개됐다. '조직의 타깃이 된 한 남자와 삶의 끝에 서 있는 한 여자의 이야기'라는 한 줄 소개만으로는 가이드가 부족하다고 여길 독자들을 위해 스포일러 없는 가이드를 준비했다.
송경원 기자
“내성적인 갱스터.”(Radio Ca' Foscari). 이보다 적절한 표현은 찾기 어려울 것 같다. 박훈정 감독의 여섯 번째 영화이자 서정적인 누아르물인 <낙원의 밤>은 어울리지 않는 것들
엄태구X전여빈X차승원의 제주도 누아르, <낙원의 밤> 첫반응
-
<신세계>
KT, SKB, LG U+, 홈초이스, 넷플릭스, 웨이브
<신세계>(2012)로 한국 갱스터 누아르 영화에 새로운 장을 연 박훈정 감독인 만큼 <낙원의 밤>에서도 액션을 구성하는 손끝은 여전히 살아 있다. 날붙이 액션부터 카 체이싱까지 엄태구 배우가 활약하는 장면들은 생기가 넘친다. 하지만 이 영화의 심장은 후반부 전여빈 배우가 움켜쥐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전작 <마녀>(2018)에서 매력적인 여성 액션 캐릭터를 선보였던 박훈정 감독의 또 다른 도전이다.
<판소리 복서>
KT, SKB, LG U+, 홈초이스, 넷플릭스, 웨이브
내성적인 갱스터물이 가진 매력의 십중 팔할은 엄태구 배우의 몫이다. 사포로 갈린 듯한 거칠고 낮은 목소리 안에 숨겨진 수줍은 진심은 이 영화가 처음이 아니다. <판소리 복서>(2019)에서 이미 엄태구만이 소화할 수 있는 독특한 멜로 감성을 선보인 바 있다. 상남자의
[HOME CINEMA] LINK - '신세계' 外
-
<낙원의 밤> 감독 박훈정 / 넷플릭스
“내성적인 갱스터.”(Radio Ca’ Foscari) 제77회 베니스국제영화제에 초청된 박훈정 감독의 <낙원의 밤>을 둘러싼 여러 반응 중 유난히 눈에 띄는, 영화의 본질을 선명하게 짚어주는 평이다. 박훈정 감독의 여섯 번째 영화이자 서정적인 누아르물인 <낙원의 밤>은 어울리지 않는 것들의 조합을 통해 이색적인 감흥을 자아내고자 애쓴다. 낙원처럼 아름다운 제주도와 밤처럼 어두운 조직폭력배의 세계. 처절한 누아르의 폭력성과 아련한 멜로드라마의 조합. 의도는 이해가 간다. 보색 효과처럼 섞이지 않을 듯이 느껴지는 요소들을 대비시키는 것만으로 비장미가 농후해질 수도 있다. 박훈정 감독은 이를 위해 치밀한 음모나 복잡한 플롯 대신 상황과 장면의 정서를 표현하는 데 집중한다. 누아르 특유의 차갑고 어두운 색감과 제주도의 푸른빛이 더해져 밤바다의 심연을 그리고 싶었던 듯하다.
하지만 영화는 ‘내성적’이란 단어를 다소
[HOME CINEMA] '낙원의 밤', 내성적인 누아르영화란
-
매년 이맘때면 나도 모르게 절로 흥얼거리게 되는 노래. “봄날은 가네 무심히도. 꽃잎은 지네 바람에….” 김윤아가 불렀던 영화 <봄날은 간다>의 O.S.T다. 유난히 일찍 만개한 꽃들이 온 세상을 화사하게 밝히는 요즘, 십수년 전 어느 봄날 양재천에서 촬영했던 영화 <아내가 결혼했다>의 한 장면을 꺼내 보았다. 벚꽃 잎들이 바람에 간간이 날렸던, 눈부시게 화사했던 그날이 떠오른다. 너무 아름다워 머물 수 없었는지 이제는 우리 곁을 떠나간 배우 김주혁이 아련히 보고 싶어지는 어느 봄날이다.
[ARCHIVE] 아련한 어느 봄날의 기억
-
<모던코리아> 8편
KBS1
무언가 불타고 폭발하는 장면이 빠지지 않는 <모던코리아> 시리즈. 일본과의 긴장을 통해 ‘한국인’을 성찰하던 흐름을 되짚어보는 8편 ‘포스트모던 코리아’에선 옛 조선총독부 건물이 해체된다. 문민정부의 ‘민족정기’ 바로 세우기가 대중문화 영역에서는 어떻게 표출되었는지 살펴보는 것도 흥미롭다. 극일에서 반일을 지나, K팝 열풍, 코로나19 방역으로 세계의 주목을 받는 이 머쓱한 시기에 놓인 것 또한 절묘하다.
<오쇼 라즈니쉬의 문제적 유토피아>
넷플릭스
6편 ‘휴거, 그들이 사라진 날’은 그들이 안 사라진, 92년 시한부 종말론 사태를 다룬다. 80년대 말, 음지의 베스트셀러 <다가올 미래를 대비하라>의 저자 이장림과 함께 전국을 돌며 종말론 간증을 하던 전양금 목사가 그 당시를 회고한다. 넷플릭스에 공개된 <오쇼 라즈니쉬의 문제적 유토피아>와 함께 보면 신앙 공동체 집단 체험의 유사성을 발견할
[HOME CINEMA] LINK - '모던코리아' 8편 外
-
하반기 방영 예정인 JTBC 드라마 <설강화>의 초기 시놉시스가 돌면서 명문대 운동권 학생으로 알고 여대 기숙사에 숨겨준 남자가 실은 남파 간첩이었다는 설정이 과거 간첩으로 조작되어 고문당한 실제 피해자들과 민주화운동을 폄훼하고 왜곡한다는 우려가 불거졌다. 방송사가 논란을 부정하며 내놓은 입장문에는 “<설강화>는 80년대 군사정권을 배경으로 남북 대치 상황에서의 대선 정국을 풍자하는 블랙코미디”라는 구절이 있다. 어떤 드라마가 될지 아직 알 수 없지만, 저 무렵을 다룬 내가 아는 최고의 블랙코미디는 KBS 아카이브 프로젝트 <모던코리아>에 있다.
지난해 KBS1 공사창립기념일 특집이었던 ‘정성을 다하는 국민의 방송’편은 전두환이 방송계 인사들을 불러 운동권 학생들과 북한을 엮는 언질을 주면 냉큼 프로그램을 제작해 내보내던 방송이 누구에게 ‘정성을 다’했는지 밝히며 스스로 풍자의 도마에 오른다.
<모던코리아>는 내레이션 없이 쇼, 교양
[HOME CINEMA] '모던코리아', 5공 말기의 블랙코미디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