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NTERVIEW]
한국을 대표하는 창작 뮤지컬을 꿈꾼다
창작자의 상상력과 기관의 의지가 더해질 때 좋은 콘텐츠가 빚어지곤 한다. 훈민정음 창제 과정을 극적으로 그린 창작 뮤지컬 <세종, 1446>(연출 김은영, 극본 김선미, 작곡 임세영·김은영)은 민과 관의 협력으로 탄생했다. 2018년 국립중앙박물관 내 극장 ‘용’에서 초연된 <세종, 1446>은 현재 전국 순회공연에서 전석 매진 행
글: 배동미 │
사진: 최성열 │
2021-12-09
-
[INTERVIEW]
"과거를 낭만적으로만 포장하는 건 위험한 일이다"
<베이비 드라이버>(2017) 이후 4년 만의 컴백이다. <새벽의 황당한 저주> (2004), <뜨거운 녀석들>(2007), <스콧 필그림 vs. 더 월드>(2010), <베이비 드라이버> 등 재기 넘치는 장르영화를 연출해온 영국 감독 에드거 라이트의 신작 <라스트 나잇 인 소호>는 각기 다른
글: 김성훈 │
2021-12-09
-
[INTERVIEW]
대놓고 욕망하는 재미
<비치온더비치> <밤치기> <하트>의 술꾼도시여자 정가영 감독이 로맨틱 코미디 <연애 빠진 로맨스>로 돌아왔다. 그의 영화엔 항상 맞은편에서 술잔을 기울이고 있는 남자와 연애하고 싶은 여자가 나온다. 그 여자는 약간 취했고 종종 상대가 술을 뿜게 할 정도로 솔직하며 대부분 정가영 자신이다. 이번 신작 <연애
글: 김소미 │
2021-12-02
-
[INTERVIEW]
여성 창작자와 지역영화에 주목할 것
한해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서울독립영화제(이하 서독제)는 그해의 화제작과 기성·신인 감독의 신작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영화제다. 김동현 집행위원장은 “새로워진 삶 안에서 서로 등을 맞대고 함께 나아가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의미로 제47회 서독제의 슬로건을 ‘백투백’(Back to Back)으로 선정했다. 슬로건과 마찬가지로 올해는 코로나19로 중단됐
글: 조현나 │
사진: 오계옥 │
2021-11-25
-
[INTERVIEW]
나는 아버지입니다
“강산이 좋다 사람이 좋다 풍악 따라 걸어온 유랑의 길 (중략) 가진 건 없어도 행복한 인생 나는 나는 나는 딴따라.” 송해의 노래 <딴따라>의 가사일부다. “딴따라라는 게 불어로 팡파르에서 나온 말이에요. 쿵짝쿵짝 팡파르, 쿵짝쿵짝 딴따라. 전에는 비아냥대고 경시하는 소리로 들렸지만 지금은 상당히 좋은 소리라 생각합니다.” 방송인 송해는 192
글: 이주현 │
사진: 오계옥 │
2021-11-25
-
[INTERVIEW]
영화라는 매체를 더 알고 싶다
조은지 감독은 매니저를 대동하지 않고 인터뷰 장소에 나타났다. 오늘의 인터뷰를 위해 홀로 메이크업을 했다는 그는 “위치에 맞게 행동하는 게 맞다”며 배우가 아닌 신진 감독의 마음으로 인터뷰에 임했다. 직접 메가폰을 잡은 장편영화 <장르만 로맨스>의 개봉을 앞둔 그는 최근 걱정과 두려움, 떨림과 설렘이 뒤섞인 복잡한 마음으로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는
글: 배동미 │
사진: 오계옥 │
2021-11-18
-
[INTERVIEW]
변신에 두려움은 없다
“진짜 안보현 맞아?” 드라마 <유미의 세포들>이 방영되기 전부터 구웅으로 분한 안보현을 본 모두가 놀랐다. 장발과 수염, 토끼 캐릭터가 그려진 티셔츠까지 드라마 <이태원 클라쓰>의 악역 장근원의 매서움은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었다. 가끔 답답하다 여길 정도로 매사 느리고 여유 있는 구웅을 지나, 드라마 <마이 네임>에서
글: 조현나 │
사진: 최성열 │
2021-11-18